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코로나19가 터지고, 경제가 점점 힘들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쳐자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벌써 2년 가까이 경제 상황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여러 주식이나 부동산 호재가 있었다고 해도 좀 더 안정적인 금시세에 관심 가지는 분들이 많을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금시세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9월 15일 기준으로 국내 금시세는 67,931.09원입니다. (신한은행 기준) 순금 한돈, 3.75g을 구매하면, 부가세 포함해서 294,226원 입니다. 국제 금시세는 1,802.39달러입니다. 국내 금가격은 국제 금시세 및 환율과 경제 상황에 따라서 하루에도 여러번 변동하기도 합니다.

시장 상황이 수차례에 걸쳐서 금값이 상승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했지만, 미 연준의 테이퍼링 압력에 밀려서 오히려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결국 지난 주에는 5주만에 첫 주간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금 외에도 실버, 플래티넘, 팔라듐 등 대부분이 하락했다고 합니다.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약세에 머물러 있던 미 국채 수익율이 반등하면서, 투자자들이 쉽게 금시장으로 넘어오지 못하는 것도 금값의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미 연준이 목표로 삼고있는 인플레이션 관리 수치가 약2%를 약간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값은 약간 움직임을 보였지만, 연속성이 있는 상승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했습니다.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는 시장의 시선과는 달리 미 연준은 완전 고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는 노동시장 우선주의를 계속해서 강조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시선도 약간은 무뎌지고 있다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실물 금은 약 0.3% 상승한 1,792.05달러, 금 선물 GCv1은 0.1% 오른 1,794.40달러에 거래됐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미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선호지표인 월간 소비자 물가지수와 8월의 생산 데이터 및 소매 판매에 대해서 발표됐습니다. 그리고 잭슨 홀 미팅 이후에 미 연준과 중앙은행에서 어떤 기류 변화가 있었는지 유추해 볼 수 있는 발언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현재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가 약 5.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값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다우존스가 예상한 5.4%에 약간 못 미치면서 일단은 인플레이션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희망적인 예측도 나왔으며, 증시에서는 인플레이션의 공포와 조기 테이퍼링 우려가 줄어들었습니다.

미국 월가에서는 이에 대해서 2021년 들어서 경제 활동이 재개되면서 산업수요가 증가하고, 원자재와 늘어나는 노동 인력 수요가 상승 효과를 일으키면서 물가가 올랐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지난 1월 이후 7개월만에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가 가장 낮은 상승율을 기록하면서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 등을 제외한 핵심 소비자 물가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약4.0% 오르는데 멈췄습니다.

이로써 11월에 열릴 차차기 미 연방공개 시장위원회(FOMC)의 회의때까지 테이퍼링이 공식화되지는 않겠으나, 9월 21-22일의 회의에서는 미 연준이 어떤 식으로든 언급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말했습니다.

금시세 전망
금시세 전망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된 12월 인도분 금값은 온스당 12.7달러(0.7%) 상승한 1,807.1달러에 마감됐으며,
팔라듐은 104.2달러(5.01%) 하락한 1975.6달러, 그리고 은 12월 인도분은 0.089센트(0.37%) 하락한 23.796달러로 마감됐습니다.